품질기능전개(QFD)란 고객의 요구가 최종 제품과 서비스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노력하는 품질경영의 방법론 중 하나이다. QFD의 기본 개념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제품의 기술특성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부품특성, 공정특성, 그리고 생산에서의 구체적인 사양과 활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공정 및 제품 품질의 정량적인 측정값, '품질특성(Critical to Quality; CTQ)'이 확인되며, 이들 간의 관계를 도표로 표현하는 '품질의 집(House of Qulity)'이 도출된다.
구분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투입사항 | 요구품질 | 설계품질 | 부품품질 | 공정품질 |
도출사항 | 설계품질 | 부품품질 | 공정품질 | 제조품질 |
추진시기 | 상품기획 | 설계 | 생산준비1 | 생산준비2 |
사용도구 | 설문조사 FGI 인터뷰 브레인스토밍 계층분석(AHP) |
가치평가 공정능력 |
공정분석 실험계획 |
공정분석 실험계획 |
구분 | 활동 | 도출사항 | 내용 | 상세 | |
1단계 | 수집 | 원시정보 | 고객 요구사항 수집 | 고객의 언어(자연어)로 표현된 요구사항 조사 | |
추출 | 요구사항 | 요구사항 도출 | 원시정보를 품질과 관련된 표현으로 변환 | ||
분류 | 요구품질* | 요구품질 유형화 | 유사한 요구품질들을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 | ||
2단계 | 전개 | 전개된 요구품질 | 요구품질 나열 | 1단계에서 분류된 요구품질을 전개 | |
산정 | 요구품질 별 중요도 | 요구사항의 중요도 설정 | 전개된 요구품질 각각의 중요도를 지수화 | ||
비교 | 타사와의 경쟁력 | 경쟁사와의 우위/하위 비교 | 타 제품이나 서비스와의 경쟁적 위치 판단 | ||
판단 | 설계품질** | 기술적 요구사항 구체화 | 고객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충족할지 산정 | ||
연계 | 상호관계*** | 요구품질과 설계품질 결부 | 고객 요구사항과 특성치와의 상호관계 평가 | ||
파악 | 기술적 중요도 | ∑요구품질 중요도×상호관계 | 각 요구품질의 중요도와 상호관계 수준을 계상 | ||
설정 | 목표, 규격한계 | 기술적 중요도 평가/규격 지정 | 설계품질의 제한사항과 조건 지정 | ||
확인 | 품질특성**** | 고객을 위한 품질수준 정립 | 목표를 정함으로써 고객만족의 필요사항 확정 | ||
평가 | 경쟁력 | 경쟁사 대비 현재 수준 인식 | 경쟁 제품이나 서비스와의 비교우위/열세 분석 | ||
분석 | 상관관계***** | 품질특성의 목표와 관계 파악 | 품질특성의 방향성과 연결 정도 검토 | ||
3단계 | 설계 | 부품도면 | 도면화 | 품질특성을 고려한 도면 작성 |
유형 | 망대 특성 | 망소 특성 | 망목 특성 |
목표 대비 | 클수록 좋음 | 작을수록 좋음 | 목표일수록 좋음 |
설정 방법 | 목표 고려, 하한 규격 설정 | 목표 고려, 상한 규격 설정 | 목표 상하 규격 설정 |
예시 | 목표 50km/ℓ 연료효율 하한 20km/ℓ |
목표 25db 소음 상한 50db |
두께±5mm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