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인터페이스의 복합적 시각 디자인 요소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복합적 시각 디자인 요소에는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있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전통적인 디자인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좁은 의미로는 글자로 이루어진 인쇄의 기술이나 인쇄물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모든 글자와 글자가 만들어내는 디자인으로 글자체, 폰트 디자인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은 글자에 의미 전달 기능은 물론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적용시켜 글자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며, 나아가 글자에 감성과 정서까지 담아낸다.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은 크게 기능적 역할과 형태적 역할로 나눌 수 있다. 기능적 역할은 말이 가지고 있는 의미의 전달로 가독성과 정보 전달력이 강조되고, 형태적 역할은 글자가 가지고 있는 형태로 조형미를 포현한다. 타이포그래피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타입페이스, 글자크기, 글줄사이, 글자사이 등이 있다.
타입페이스 : 일반적으로 글꼴이라고 불리는 글자의 형태를 가리킨다.
글자크기 : 일반적인 포인트 단위로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며, 타입페이스에 따라 글자 크기는 약간씩 다를 수 있다.
글줄사이(행간) : 글자의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글자사이(자간) : 글자와 글자의 간격, 글자와 옆 글자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그래픽Graphic은 타이포그래피가 문자에 기반한 복합적인 디자인 요소라 하면, 문자 이외의 요소에 기반한 복합적인 디자인이다. 그래픽은 기본적인 형태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소통수단이면서 사람은 언어보다 비언어를 통해 소통을 배우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훌륭한 그래픽은 문자보다 더 쉽게 주목하게 만들며, 다른나라 언어를 모르더라도 소통할 수 있으며, 굳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직관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그래픽을 디자인할 때 고려할 요소는 일반적인 경우와 인터페이스를 고려하는가 여부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이미지, 다이어그램, 테이블과 그래프 등이고, 인터페이스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윈도우Window, 아이콘Icon, 메뉴Menu, 포인터Pointer 등의 요소를 추가로 고려한다. 특별히 인터페이스를 고려할 때의 4가지 요소의 앞글자를 따 WIMP라고 부른다.
Human Computer Interaction, 김진우저, 안그라픽스